RDS (Relational Database Service)
Amazon Web Services(AWS)에서 제공하는 관리형 서비스로, 클라우드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설정, 운영 및 확장하는 프로세스를 단순화한다.
특징
1.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엔진 지원을 한다. ex) Amazon Aurora, PostgreSQL, MySQL, MariaDB, Oracle Database
2. 자동화된 관리 기능
- 자동 백업을 수행,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를 최신 상태로 유지
3. 확장성
- 스토리지 확장
- 필요에 따라 인스턴스 유형을 변경하여 컴퓨터 용량을 조절
- 읽기 성능을 향상시키고 읽기 작업 부하를 부산한다.
4. 고가용성과 내구성
- 다중 AZ배포: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를 요럭 가용 영역에 걸쳐 배포하여 고가용성을 보장한다.
- 자동 백업 및 스냅샷: 정기적인 자동 백업과 수동 스냅샷 생성 가능하다.
구조
- M (Master database): DB 시스템에서 주요 데이터의 원본 역할을 하는데 모든 쓰기 작업(INSERT, UPDATE, DELETE)은 Master DB에서 수행된다.
- S (Standby database): 고가용성과 데이터 복구를 위해 마스터 M의 데이터를 복제하여 대기 상태로 유지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주로 장애 발생 시 자동으로 활성화되어 서비스의 중단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AWS RDS에서 스탠바이 데이터베이스는 Multi-AZ 배포를 통해 구현됩니다. 동기 복제를 통해 M과 같은 데이터를 가진다.
- R (Read replica database): 데이터베이스의 읽기 성능을 향상시키고 R은 M의 데이터를 비동기 복제하며, 주로 읽기 전용 작업에 사용된다. 이 기능은 데이터베이스의 확장성과 성능 최적화를 위해 매우 유용하다.
RDS 실습
RDS 인스턴스 생성
MySQL Workbench를 사용하여 RDS인스턴스에 접속
RDS 인스턴스 삭제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4) - CloudFront (0) | 2024.05.20 |
---|---|
AWS(3)-S3 (1) | 2024.05.17 |
AWS(2) - Auto Scaling (0) | 2024.05.14 |
AWS(2) - ELB 로드밸런싱 (0) | 2024.05.14 |
AWS(2) - EBS (0) | 2024.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