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에 대한 이해도 높이기

2024. 5. 28. 17:30·개발지식

네트워크 7계층 


개념

네트워크 7계층 모델은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로 알려져 있으며, 네트워크 통신을 계층적으로 설명하는 모델로 각 계층은 특정한 기능을 담당하며, 데이터 통신을 효율적으로 관리합니다

 

  1.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 데이터 전송의 물리적인 매체와 방법을 정의합니다.
    • 전기적 신호, 광 신호, 케이블, 커넥터 등의 하드웨어 요소가 포함됩니다.
    • 예: Ethernet, USB, Bluetooth
  2.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 물리 계층에서 전달된 데이터의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합니다.
    • 프레임(Frame)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MAC 주소를 이용한 물리적 주소 지정이 포함됩니다.
    • 예: Ethernet, PPP(Point-to-Point Protocol), Switch
  3.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 데이터 패킷을 소스에서 목적지까지 최적의 경로로 전달합니다.
    • IP 주소를 사용하여 논리적 주소 지정을 수행하고 라우팅을 관리합니다.
    • 예: IP(Internet Protocol),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Router
  4.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 종단 간(end-to-end) 통신을 관리하며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 데이터 세그먼트(segment)를 전송하고 흐름 제어 및 오류 제어를 수행합니다.
    • 예: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5. 세션 계층 (Session Layer):
    • 응용 프로그램 간의 세션을 설정, 관리, 종료합니다.
    • 대화 제어(dialog control), 동기화 및 체크포인트 기능을 제공합니다.
    • 예: NetBIOS, RPC(Remote Procedure Call)
  6.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 데이터의 형식, 인코딩 및 암호화를 관리합니다.
    • 서로 다른 데이터 표현 방식을 사용하는 시스템 간의 데이터 변환을 담당합니다.
    • 예: JPEG, MPEG, SSL/TLS
  7.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 최종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네트워크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합니다.
    • 다양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이 포함됩니다.
    • 예: HTTP, FTP, SMTP, DNS

 

 

네트위크 계층(Network Layer)


DHCP, IP 주소 발급방법

IP 주소를 할당하기란 쉽지 않은 일입니다. 특히 IP 주소 할당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면 누군가의 인터넷 연결이 끊어질 수도 있습니다. 이때 DHCP란 기능을 이용하면 IP 주소 할당을 더욱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DHCP의 정의

DHCP란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의 약자로, IP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

DHCP는 IP 주소 및 기타 통신 매개변수를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에 자동으로 할당합니다. 대부분의 가정용 네트워크에서는 라우터가 IP 주소를 장치에 할당하는 DHCP 서버의 역할을 합니다.

 

DHCP의 동작

1. 장치는 네트워크에 연결 시 IP 주소를 요청 

2. 요청은 DHCP 서버로 전달

3. 서버는 주소를 할당하고 주소의 이용을 모니터링하며 장치의 연결이 해제되면 주소를 다시 가져온다.

4. 해당 IP 주소는 다른 장치에 재할당할 수 있으며, 장치는 IP 주소를 이용해 내부 및 공용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DHCP 구성 요소

제대로 작동하는 DHCP 시스템에는 서버와 클라이언트라는 두 가지 구성 요소만 있으면 됩니다.

1. DHCP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연결된 모든 장치

2. DHCP 서버는 각 장치에 그에 따라 IP 주소를 할당

 

출처: https://nordvpn.com/ko/blog/what-is-dhcp/

 

DHCP의 뜻과 동적 호스트 프로토콜을 이용해야 하는 이유 알아보기 | NordVPN

DHCP의 정의와 동작 과정, 장점과 단점을 알아보고 VPN으로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을 확인해 보세요.

nordvpn.com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UDP(User Datagram Protocol)는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에서 사용되는 두 가지 주요 프로토콜입니다

 

TCP는 데이터의 신뢰성과 순서를 중요시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고, UDP는 빠른 전송이 필요하며 약간의 데이터 손실을 감수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합니다.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HTTP(HTTPS) 프로토콜 요청과 응답

HTTP 프로토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로 HTTP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통신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HTML, CSS, Javascript 등의 문서를 전송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로 사용됩니다. HTTP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따르며, 클라이언트(보통은 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요청(Request)을 보내고,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응답(Response)을 보낸다. 이때, 요청과 응답은 HTTP 메시지라는 형식으로 전송됩니다.

 

HTTP는 평문(Plain text)로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보안의 취약하다. 그 점을 보안하기 위해 보안성이 높은 HTTPS 가 생겼다.

 

HTTPS 프로토콜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에 보안 계층을 추가한 프로토콜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통신을 암호화하여 데이터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장합니다. HTTPS는 주로 웹사이트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SSL/TLS (Secure Sockets Layer / Transport Layer Security):

  • HTTPS의 보안 계층으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안전하게 전송합니다.
  • SSL은 초기 버전이며, 현재는 보안이 강화된 TLS가 주로 사용됩니다.

- 동작원리

  1. 클라이언트-서버 연결: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가 HTTPS URL을 요청하면, 서버와의 보안 연결을 시작합니다.
  2. SSL/TLS 핸드셰이크: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SSL/TLS 핸드셰이크를 통해 암호화된 연결을 설정합니다. 핸드셰이크 과정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서로의 인증서를 확인하고, 세션 키를 생성합니다.
  3. 인증서 교환: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자신의 디지털 인증서를 전송합니다. 이 인증서는 신뢰할 수 있는 인증 기관(CA, Certificate Authority)에 의해 서명된 것입니다. 클라이언트는 인증서의 유효성을 검증합니다.
  4. 세션 키 생성: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대칭 키 암호화를 위해 세션 키를 생성합니다. 이 세션 키는 핸드셰이크 과정에서 교환된 공개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됩니다.
  5. 암호화된 데이터 전송: 세션 키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전송됩니다. 이렇게 하면 제3자가 데이터를 가로채더라도 내용을 해독할 수 없습니다.

'개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NCP를 이용한 서버 관리  (0) 2024.09.09
[DataBase] NoSQL의 특징  (0) 2024.04.27
'개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NCP를 이용한 서버 관리
  • [DataBase] NoSQL의 특징
Gomnonix
Gomnonix
  • Gomnonix
    재주곰
    Gomnonix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 aws
      • computer sciernce
      • 개발지식
      • 프로젝트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AWS
    -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Gomnonix
Web에 대한 이해도 높이기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